맛따라길따라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맛따라길따라

  • 분류 전체보기 (413) N
    • 라오스 (154)
    • 성경이야기 (98)
    • 이런저런 기록이야기 (47)
    • 다양한 이야기 (30)
    • 국내여행 (19)
    • 경건메시지 (63) N
  • 홈
  • 라오스 이야기
  • 성경이야기
  • 세상의모든기록
  • 국내여행
  • 다양한 이야기
61. 신약성경 - 공동서신 - 베드로후서

61. 신약성경 - 공동서신 - 베드로후서

저자본 서의 저자는 예수님의 제자 베드로이다. 그러나 베드로가 베드로후서의 저자가 아니라는 주장이 있어 왔다. 용어가 베드로전서와 상이(相異)하며, 어부였던 베드로가 썼다고 보기엔 너무 순수한 헬라어로 기록되었고, 외증이 없다는 것이다. 또 유다서와 비슷한 내용이 많아서 유다서의 모방작이거나 베드로의 이름만 빌린 위작(falsata)으로 보인다는 것이다.그러나 본서의 저자를 베드로라고 주장하는 견해가 더 강하다. 베드로후서에 따르면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과 사도인 시몬 베드로이다(벧후 1:1). 그는 자신이 변화되신 예수님을 목격한 사람이었고(벧후 1:16-18), 바울을 ‘사랑하는 형제’라고 부름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바울과 동일한 수준에 두었다(벧후 3:15-16). 또한 그는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

  • format_list_bulleted 성경이야기
  • · 2025. 7. 11.
  • textsms
60. 신약성경 - 공동서신 - 베드로전서

60. 신약성경 - 공동서신 - 베드로전서

저자저자는 베드로이다(벧전 1:1). 저자는 자신을 ‘함께 장로된 자요 그리스도의 고난의 증인’(벧전 5:1)이라고 소개했다.그러나 베드로전서의 저자가 베드로가 아니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본서에 나타난 박해는 상당히 조직적이므로 네로 때의 것(AD 62-68년)이 아니라 도미티안 황제(AD 92-96년)나 트라얀 황제 때(AD98-117년)의 박해였을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둘째, 본서는 유창한 헬라어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학문 없는 범인’(행 4:13)이었던 베드로의 저작일 수 없다.셋째, 베드로가 썼다고 하기에는 너무 많은 부분이 바울의 저작과 비슷하다는 이유이다.넷째, 베드로가 기록했다고 보기에는 당연히 있어야 할 예수님의 생애에 대한 언급이 너무 적다는 부분이다. 하지만 본서를 베드로의 저작으로 ..

  • format_list_bulleted 성경이야기
  • · 2025. 7. 11.
  • textsms
59. 신약성경 - 공동서신 - 야고보서

59. 신약성경 - 공동서신 - 야고보서

"베드로전후서, 요한일이삼서 및 유다서와 함께 공동서신 중 한 권이다."야고보서는 어떤 개교회들이나 개인들에게 보내졌던 것이 아니라 보다 넓은 영역의 신자들에게 보내졌던 회람 서신이다. 저자저자는 야고보,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 야고보이다(약 1:1). 성경에 나오는 여러 명의 야고보 중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다.먼저,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라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그가 일찍 순교당한 것(AD 44년경, 행 12:1-2)을 생각해 볼 때 그가 야고보서를 기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둘째, 예수님의 형제인 야고보라는 견해이다. 오리겐, 유세비우스, 제롬 등 많은 학자들은 이 견해를 지지한다. 그 근거로는 전체 본문에 유대적인 색채가 짙어 유대인 교회의 지도자였던 야고보가 저작했을 ..

  • format_list_bulleted 성경이야기
  • · 2025. 7. 11.
  • textsms
57. 신약성경 - 바울서신 - 빌레몬서

57. 신약성경 - 바울서신 - 빌레몬서

"빌레몬서는 바울이 로마 감옥에서 빌레몬이라는 한 개인에게 쓴 편지이다."바울 서신들 가운데서 가장 개인적인 것으로, 이 서신의 진정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이견이 없다. 왜냐하면 짧은 서신에서 바울은 세 번씩이나 서신을 보내는 사람으로 자신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몬 1, 9, 19).빌레몬서에 등장하는 아킵보, 에바브라, 아리스다고, 누가 등의 이름은 빌레몬서가 골로새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는 증거이다(골 4:10, 12, 17 참고). 기록 연대 및 장소빌레몬서를 기록한 시기와 장소는 바울이 처음 로마 감옥에 갇혀 있을 때인 AD 61-63년 경이었을 것으로 본다. 오네시모가 골로새서를 가지고 골로새로 가는 두기고와 동행했던 것으로 보아 두 서신은 대략 같은 시기, 즉 아마도 AD..

  • format_list_bulleted 성경이야기
  • · 2025. 7. 7.
  • textsms
56. 신약성경 - 바울서신 - 디도서

56. 신약성경 - 바울서신 - 디도서

디도서는 사도 바울이 그의 동역자 디도에게 보낸 편지로, 신약성경의 세 ‘목회 서신’(디모데전·후서와 디도서)의 하나이며, 약 AD 62–66년에 기록된 것으로 여겨진다. 바울은 크레타 섬의 교회들이 거짓 교사와 부패한 문화 속에서 흔들리고 있다는 이유로, 디도에게 교회 질서 회복과 성도들의 신앙생활 정립을 요구한다. 저자신약성경 중 17번째 책이며 바울이 동역자 디도에게 보낸 편지이다(딛 1:1-4). 기록 연대와 기록 장소바울이 로마 1차 투옥에서 석방되고 나서 AD 66년경 마게도냐에서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록 목적과 배경바울을 대신하여 그레데 섬에서 목회하는 제자 디도에게 목회의 지침을 알리고자 쓴 글이다. 디도가 사역하는 그레데 교회는 거짓 교사들의 가르침으로 인해 도덕적으로 타락하였..

  • format_list_bulleted 성경이야기
  • · 2025. 7. 6.
  • textsms
55. 신약성경 - 바울서신 - 디모데후서

55. 신약성경 - 바울서신 - 디모데후서

저자와 연대, 기록 장소이 서신서의 기록 연대는 AD 66-67년경 바울이 다시 투옥되었던 로마 감옥에서 쓰여진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 서신이 바울의 마지막 서신이라고 볼 수 있다. 기록 목적디모데로 하여금 다가온 박해와 어려움에 대처하여 복음과 신앙을 다시 고백하고 자신의 직무에 충실하게 하기 위해 쓰여졌다(딤후 2:23-26; 3:1-5).또한 바울 주위의 사람이 그를 버렸고 그의 사역이 거의 끝난 시점에서 디모데를 만나보고 싶었기 때문이기도 했다(딤후 1:5). 그래서 이 서신을 로마 감옥에서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여 쓴 바울의 유서로 보기도 한다. 디모데후서의 특징디모데전서에 비해 더 개인적인 내용이 담겨 있다. 즉 디모데의 믿음에 대한 칭찬(딤후 1:13-14), 배신자에 대한 언급(딤후 1..

  • format_list_bulleted 성경이야기
  • · 2025. 7. 4.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5
  • ···
  • 17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413) N
    • 라오스 (154)
    • 성경이야기 (98)
    • 이런저런 기록이야기 (47)
    • 다양한 이야기 (30)
    • 국내여행 (19)
    • 경건메시지 (63) N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바울서신
  • #루앙프라방
  • #신약성경
  • #비엔티안맛집
  • #라오스
  • #라오스어
  • #라오스어배우기
  • #공동서신
  • #구약성경
  • #소선지서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