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에드센스 소유권 인증 코드 시작---> <---에드센스 소유권 인증 코드 끝--->
"빌레몬서는 바울이 로마 감옥에서 빌레몬이라는 한 개인에게 쓴 편지이다."바울 서신들 가운데서 가장 개인적인 것으로, 이 서신의 진정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이견이 없다. 왜냐하면 짧은 서신에서 바울은 세 번씩이나 서신을 보내는 사람으로 자신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몬 1, 9, 19).빌레몬서에 등장하는 아킵보, 에바브라, 아리스다고, 누가 등의 이름은 빌레몬서가 골로새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는 증거이다(골 4:10, 12, 17 참고). 기록 연대 및 장소빌레몬서를 기록한 시기와 장소는 바울이 처음 로마 감옥에 갇혀 있을 때인 AD 61-63년 경이었을 것으로 본다. 오네시모가 골로새서를 가지고 골로새로 가는 두기고와 동행했던 것으로 보아 두 서신은 대략 같은 시기, 즉 아마도 AD..
디도서는 사도 바울이 그의 동역자 디도에게 보낸 편지로, 신약성경의 세 ‘목회 서신’(디모데전·후서와 디도서)의 하나이며, 약 AD 62–66년에 기록된 것으로 여겨진다. 바울은 크레타 섬의 교회들이 거짓 교사와 부패한 문화 속에서 흔들리고 있다는 이유로, 디도에게 교회 질서 회복과 성도들의 신앙생활 정립을 요구한다. 저자신약성경 중 17번째 책이며 바울이 동역자 디도에게 보낸 편지이다(딛 1:1-4). 기록 연대와 기록 장소바울이 로마 1차 투옥에서 석방되고 나서 AD 66년경 마게도냐에서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록 목적과 배경바울을 대신하여 그레데 섬에서 목회하는 제자 디도에게 목회의 지침을 알리고자 쓴 글이다. 디도가 사역하는 그레데 교회는 거짓 교사들의 가르침으로 인해 도덕적으로 타락하였..
저자와 연대, 기록 장소이 서신서의 기록 연대는 AD 66-67년경 바울이 다시 투옥되었던 로마 감옥에서 쓰여진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 서신이 바울의 마지막 서신이라고 볼 수 있다. 기록 목적디모데로 하여금 다가온 박해와 어려움에 대처하여 복음과 신앙을 다시 고백하고 자신의 직무에 충실하게 하기 위해 쓰여졌다(딤후 2:23-26; 3:1-5).또한 바울 주위의 사람이 그를 버렸고 그의 사역이 거의 끝난 시점에서 디모데를 만나보고 싶었기 때문이기도 했다(딤후 1:5). 그래서 이 서신을 로마 감옥에서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여 쓴 바울의 유서로 보기도 한다. 디모데후서의 특징디모데전서에 비해 더 개인적인 내용이 담겨 있다. 즉 디모데의 믿음에 대한 칭찬(딤후 1:13-14), 배신자에 대한 언급(딤후 1..
"바울이 에베소에서 목회를 하고 있던(딤전 1:3) 디모데에게 보낸 목회서신으로 직무 수행에 필요한 규정과 지침, 경험 들을 바탕으로 한 지도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잇다." 저자와 연대, 기록 장소바울이 1차 로마 투옥과 2차 로마 투옥 사이 전도여행을 하던 AD 62년과 66년 사이로 추정한다. 62-63년경 로마 감옥에서 석방된 때부터 순교하기 전까지의 기간에 저작하였을 것이다. 기록 목적첫째, 이단의 거짓된 교리를 배격하고 참된 신앙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엔 영지주의가 교회에 들어와 사상적인 동요를 일으키고 있었으므로(딤전 1:4-7; 4:1-3; 6:3-5) 이에 대해 바른 신앙을 가르칠 필요가 있었다.둘째, 디모데가 목회 사역의 책임을 합당하게 감당하도록 일깨우기 위해서였다. 즉 자..
기록 배경 및 목적데살로니가전서를 기록한 뒤 1년이 채 되지 않아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데살로니가후서 역시 바울이 기록했다. 바울은 처음 편지를 쓴 뒤 얼마 되지 않아 걱정스런 소식을 들었다(살후 3:11).박해가 계속되는 가운데 교회 내부에 영광 중에 오실 그리스도의 재림 때문에 오해와 소란이 있다는 것이었다. 일부 성도들은 끝날은 벌써 왔다고 하며(살후 2:2) 일을 하지 않기도 했다(살후 3:6-15).이에 대해 바울은 그리스도의 재림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음을 증명하고 재림 전 어떤 징조가 있어야 하는지를 가르치고자 이 편지를 기록했다(살후 2:3). 데살로니가후서의 특징첫째, 데살로니가전서와 마찬가지로 재림에 대한 내용이 많은 지면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서술한 어조는 보다 교훈적이다.둘째, ..
기록 장소, 연대, 배경 및 목적데살로니가전서는 바울이 초기에 쓴 서신(다수 학자들은 데살로니가전서를 바울의 첫 번째 저작이라고 본다)으로, AD 51-52년경 고린도에서 썼다. 제2차 전도여행 중 데살로니가에서 복음을 전했던 바울과 실라는 그들을 시기한 유대인들의 박해로 인해 데살로니가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행 17:1-9).그 후 고린도에서 바울은 디모데가 전하는 데살로니가 교회의 소식을 들었다. 세워진 지 얼마 되지 않았던 데살로니가 교회는 모진 박해를 잘 견디고 있으며 다른 지방에까지 그 믿음이 본이 되고 있고(살전 1:2-10; 2:14-16), 바울을 보고 싶어한다는 기쁜 내용이었다(살전 3:6).아울러 바울은 자신의 지도가 필요한 몇 가지 문제가 있음도 발견했다. 즉 회심한 성도들 중 그릇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