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에드센스 소유권 인증 코드 시작---> <---에드센스 소유권 인증 코드 끝--->
"구약성경의 시가서 중 한 권으로 의인에게 왜 고난이 있는가에 대한 ‘고난의 신비’를 다룬 책이다.욥이란 인물과 일어난 사건들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욥기의 내용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이며, 욥은 아브라함과 동시대의 인물로 보기도 한다. 저자 욥기의 저자가 누구냐에 관한 문제는 이 책의 기록 연대를 어느 시대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탈무드에는 욥기를 모세가 지었다고 한다.욥기에 나오는 어떤 문장과 모세 5경과 동일한 이유 때문이다.어떤 사람들은 다윗 왕정에서 성가대를 맡았던 헤만이 욥기의 저자라고 본다.욥기의 주요 사상과 헤만의 작품인 시편 88편의 사상과 같기 때문이다.다른 사람들은 솔로몬이 욥기를 지었다고 보기도 한다.본서가 지혜문학에 속하기 때문이다.그 밖에도 예레미야나 본서에 등장..
바사 제국의 통치 기간 중 유대인을 제거하려는 하만의 음모와 에스더가 바사 왕과의 결혼을 통해 유대인들을 구원하게 되는 극적인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이 구원의 사건은 그 후 부림절로 불리면서 오늘날까지도 유대인들에 의해 기념되고 있다.에스더서는 바사 궁정의 관습들에 대해 풍부한 자료를 제공해 주며 또 많은 바사인의 이름들과 여러 가지 언어들을 포함하고 있다.대부분 학자들은 이 책이 크세르크세스(Xerxes; 흠정역과 다른 역본들), 즉 아하수에로의 통치 기간 동안 또는 그 직후에 기록되었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에스더서의 저자와 수신자 이 책의 저자가 누구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보통 바사(페르시아)에 살고 있던 익명의 유대인으로 본다.그는 에스더서를 기록할 때 모르드개가 보관했던 기록과 역대기의 ..
구약 역사서의 마지막 책으로, 바벨론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 성벽 재건(느 1-7장)과 느헤미야에 의해서 시행된 종교개혁(느 8-13장)을 기록한 책이다.히브리 원어 성경에는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가 한 권으로 되어 있었으나 오리겐(Origen)이 두 책으로 구분했으며, 제롬(Jerome)은 벌게이트(the Vulgate)에서 에스라, 느헤미야로 나누었다.저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는데, 어떤 학자들은 에스라서와 한 권이었기 때문에 에스라가 저자라는 주장을 한다.그러나 일반적으로 내용상 느헤미야가 자신을 1인칭으로 불렀고 대부분 느헤미야에 관한 내용이란 점에서 저자를 느헤미야라고 본다.일부 학자들은 느헤미야가 회상하는 내용(느 1:1-7:5; 12:27-43; 13:4-31 등) 외에는 에스라가 썼..
명칭귀환과 재헌신을 주제로 기록된 역사서이다.히브리어 성경에서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는 원래 한 권의 책이었다.두 책은 모두 바벨론 포로 생활 후 유다로 돌아온 유대인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에스라의 배경북이스라엘과 남유다는 메소포타미아의 두 강대국들 즉 이스라엘은 BC 722년에 앗수르에게, 유다는 BC 586년에 바벨론에게 멸망당하였다.앗수르와 바벨론은 피정복민들을 그들의 고향 땅에서 이주시켜 제국의 땅에 재정착시키는 정책을 썼다(왕하 17:6).성경은 이러한 이주정책을 우상숭배와 하나님과의 언약 파기 때문에 내려진 하나님의 징벌로 보고 있다(왕하 17:7-23).하지만 성경은 포로 생활이 일시적인 것이라고 예언하였다(렘 29:14).하나님의 백성들은 바벨론 포로 생활 동안 영적으로 정화되었고 해..
명칭히브리어 원전의 명칭은 (그 날에 생긴 일들)이다.또 원전에서는 상하 두권이 아닌 한 권의 책이다.본서는 성문서집의 맨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다.유대인들의 전통에 의하면 본서의 저자는 에스라라고 한다.역대하의 마지막 말들(대상36:22-23)과 에스라의 첫말(대상1:1-3)이 같은 말임을 알수있다. 주제표 초점솔로몬 통치유다의 멸망 구분 신성한 성전더렵혀진 성전(포로)본문 대하 1-20장대하 20-36장장소남쪽 유다 왕국시간 약 40년약 100년 내용과 주요사상본서의 내용은 열왕기 상,하 두권에 기록되어 있는 역사를 대체로 포함하고 있으나 북왕국 이스라엘의 역사는 거의 빠져있고, 남왕국 유다 특히 다윗왕국과 솔로몬 왕국에 관심의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을 알수있다.여기에는 특별한 이유 즉 저자의 의도가 있..
명칭히브리어 원전의 명칭은 (그 날에 생긴 일들)이다.또 원전에서는 상하 두권이 아닌 한 권의 책이다.본서는 성문서집의 맨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다.유대인들의 전통에 의하면 본서의 저자는 에스라라고 한다.역대하의 마지막 말들(대상36:22-23)과 에스라의 첫말(대상1:1-3)이 같은 말임을 알수있다. 주제표 초점다윗의 혈통다윗의 통치구분 족보역사본문대상 1-9장대상 10-29장장소통일왕국시간수 천년약 40년 내용과 주요사상본서의 내용은 열왕기 상,하 두권에 기록되어 있는 역사를 대체로 포함하고 있으나 북왕국 이스라엘의 역사는 거의 빠져있고, 남왕국 유다 특히 다윗왕국과 솔로몬 왕국에 관심의 중점을 두고 있는것을 알수있다.여기에는 특별한 이유 즉 저자의 의도가 있음을 알수 있다.저자는 선민 이스라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