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라오스어
- 비엔티안
- 루앙프라방
- 기생충
- 라오어
- 방비엥
- 라오스
- 라오스맛집
- 비엔티안필수코스
- 라오스어배우기
- 방비엥필수코스
- 라오스축제
- 탓루앙
- 소선지서
- 라오어배우기
- 비엔티안맛집
- 서신서
- lao101
- 이만수감독
- 서울
- 라오스어기초
- 모세오경
- 신약성경
- 역사서
- 바울서신
- 라오스여행
- 구약성경
- 치앙마이
- 공동서신
- 복음서
- Today
- Total
목록2025/07/11 (3)
맛따라길따라

저자본 서의 저자는 예수님의 제자 베드로이다. 그러나 베드로가 베드로후서의 저자가 아니라는 주장이 있어 왔다. 용어가 베드로전서와 상이(相異)하며, 어부였던 베드로가 썼다고 보기엔 너무 순수한 헬라어로 기록되었고, 외증이 없다는 것이다. 또 유다서와 비슷한 내용이 많아서 유다서의 모방작이거나 베드로의 이름만 빌린 위작(falsata)으로 보인다는 것이다.그러나 본서의 저자를 베드로라고 주장하는 견해가 더 강하다. 베드로후서에 따르면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과 사도인 시몬 베드로이다(벧후 1:1). 그는 자신이 변화되신 예수님을 목격한 사람이었고(벧후 1:16-18), 바울을 ‘사랑하는 형제’라고 부름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바울과 동일한 수준에 두었다(벧후 3:15-16). 또한 그는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

저자저자는 베드로이다(벧전 1:1). 저자는 자신을 ‘함께 장로된 자요 그리스도의 고난의 증인’(벧전 5:1)이라고 소개했다.그러나 베드로전서의 저자가 베드로가 아니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본서에 나타난 박해는 상당히 조직적이므로 네로 때의 것(AD 62-68년)이 아니라 도미티안 황제(AD 92-96년)나 트라얀 황제 때(AD98-117년)의 박해였을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둘째, 본서는 유창한 헬라어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학문 없는 범인’(행 4:13)이었던 베드로의 저작일 수 없다.셋째, 베드로가 썼다고 하기에는 너무 많은 부분이 바울의 저작과 비슷하다는 이유이다.넷째, 베드로가 기록했다고 보기에는 당연히 있어야 할 예수님의 생애에 대한 언급이 너무 적다는 부분이다. 하지만 본서를 베드로의 저작으로 ..

"베드로전후서, 요한일이삼서 및 유다서와 함께 공동서신 중 한 권이다."야고보서는 어떤 개교회들이나 개인들에게 보내졌던 것이 아니라 보다 넓은 영역의 신자들에게 보내졌던 회람 서신이다. 저자저자는 야고보,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 야고보이다(약 1:1). 성경에 나오는 여러 명의 야고보 중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다.먼저,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라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그가 일찍 순교당한 것(AD 44년경, 행 12:1-2)을 생각해 볼 때 그가 야고보서를 기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둘째, 예수님의 형제인 야고보라는 견해이다. 오리겐, 유세비우스, 제롬 등 많은 학자들은 이 견해를 지지한다. 그 근거로는 전체 본문에 유대적인 색채가 짙어 유대인 교회의 지도자였던 야고보가 저작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