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소선지서
- 라오스여행
- 복음서
- 탓루앙
- 방비엥필수코스
- 공동서신
- 비엔티안필수코스
- 이만수감독
- 바울서신
- lao101
- 라오스어기초
- 역사서
- 비엔티안맛집
- 신약성경
- 방비엥
- 라오스어
- 루앙프라방
- 치앙마이
- 라오어
- 라오스어배우기
- 구약성경
- 모세오경
- 비엔티안
- 라오어배우기
- 라오스맛집
- 기생충
- 서울
- 라오스축제
- 서신서
- 라오스
- Today
- Total
목록제22대총선 (2)
맛따라길따라

제22대 총선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투표를 하려다 보니 이번에도 선거제도가 참 어렵게 느껴지네요. 지역구 선거 비례대표, 병립형, 연동형, 준 연동형, 의석 배분 등 어려운 용어들이 넘치고 넘칩니다. 과연 국민들 중에 선거제도를 확실히 알고 투표하시는 분이 얼마나 될지도 의문입니다. 선거운동에 접어들면서 가장 큰 이슈는 조국 혁신당의 돌풍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나 조국 혁신당은 지역구 없이 정당투표에 따른 비례대표로만 국회의원을 배출할 수 있는 상황인데요, 과연 몇 석까지 확보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싶어도 명확히 나와 있는 것이 없어 답답해하던 차에 참여연대에서 제공하는 선거 계산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는 유권자가 선거제도를 잘 알 수 있도록 이해를 돕기 위해 22대 총선..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2024년 4월에 실시됩니다. 지금 한국 정치계는 새로운 선거제도를 놓고 강도 높은 정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선거제도가 어떻게 정해지느냐에 따라 이해득실의 차이가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정치제도는 다수제로 진행되어 오다 비례대표제를 추가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습니다. 지난 21대 총선에서는 준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선거를 실시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선거제도가 매우 복잡하여 선거권자도 이해하기 어려운데 하나씩 살펴보고자 합니다. 비례대표제 비례대표제(比例代表制, Proportional representation(PR))는 정당의 득표율에 비례해 당선자 수를 결정하는 선거 제도로, 각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의 비율을 의회 구성에 반영하기 위해 생겨난 제도입니다. 즉 한 정당이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