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에드센스 소유권 인증 코드 시작---> <---에드센스 소유권 인증 코드 끝--->
구약의 5권 시가서 중 한 권이다.문자적으로는 ‘아름다운 노래’라는 뜻으로, 히브리어 성경(맛소라)에서는 ‘노래들 중의 노래’, 즉 ‘최상의 노래’라고 부른다. 이 책은 무교절 기간 중 제8일에 낭독되었다. 저자유대의 오랜 전승에 따르면 솔로몬을 아가서의 저자로 본다.솔로몬이 젊었을 때는 아가서를, 중년기에는 잠언을, 노년에는 전도서를 기록했다고 본다.하지만 솔로몬이 아가서의 저자라는 것에 반대하는 견해도 있다. 이 주장의 근거는 탈무드에 히스기야와 그의 동료들이 아가서를 기록했다고 적혀 있고(Talmud Baba Bathra 15a), 아가서 시작의 본문인 “솔로몬의 아가라”(아 1:1)는 구절을 “솔로몬에 관한 아가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또 ‘디르사’가 ‘예루살렘’과 함께 나타나는 것..
본서의 명칭은 ‘코헬렛’(qoheleth)이며, 그것은 ‘부른다’는 히브리어 동사 ‘콰할’(qahal)의 분사형 여성 단수형으로 ‘모임을 부르는자’, 또는 ‘모임에서 말하는 자’를 뜻한다(전 1:1-2, 12, 12:8, 9-10).이 명사가 여성형인 것은 이것이 직무를 가리키기 때문으로 보인다.70인역(LXX)의 ‘에클레시아스테스’(ekklesiastes)나 라틴역(Vulgate)의 ‘Ecclesiastes’등도 같은 뜻이다. 저자와 연대저자는 자신을 ‘다윗의 아들, 예루살렘 왕 전도자’(전 1:1, 12)라 밝히고, 그가 “큰 지혜를 많이 얻었으므로”(전 1:16)라는 기록으로 자신이 솔로몬인 것을 더욱 분명히 하고 있다.유대인 학자들의 오랜 전승은 솔로몬이 젊은 시절에 아가서를 기록하고, 장년기에..
저자와 연대잠언서의 저자와 연대를 알려면 책의 구조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이 책은 여러 시대에 걸쳐 여러 명의 저자들과 편집자들에 의해 기록된 여덟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제 1단락(잠 1:1-7)은 책의 목적과 주제를 언급하고 있는 서문이다.잠언 1:1의 서두 ‘솔로몬의 잠언’은 1-9장을 소개한다.제2단락(잠 1:8-9:18)은 지혜의 효용성에 관한 솔로몬의 잠언이다.제1-2단락으로 보건데 솔로몬의 통치 기간은 BC 971-931년이기 때문에 그가 쓴 잠언들은 BC 10세기의 것이다. 잠언 10:1에 의하면 제3단락(잠 10:1-22:16) 역시 솔로몬의 작품이다.제4단락(잠 22:17-24:34)은 ‘지혜있는 자의 말씀’(22:17; 24:23)이라 불린다.이 ‘지혜있는 자’의 성격이 모호하기 때문..
구약성경 시편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150편의 노래를 담은 ‘찬양의 책’이자 현존하는 최대의 종교적 서정시집이다.이 책은 모세로부터 시작하여 바벨론 포로 귀환까지 1,000년 동안 다윗, 솔로몬, 고라 자손, 아삽 등 여러 명의 저자들에 의해 씌어지고 편집되었다. 시편에는 찬양시 외에도 탄원시, 감사시, 제왕시, 지혜시 등이 있다. 대부분의 시편들은 간구와 찬양의 시적 감정들을 직접적으로 하나님께 표현하고 있으며 그것들은 승리와 기쁨, 소망뿐만 아니라 두려움과 의심, 비극 등 진실한 신자들이 겪는 모든 종교적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또한 몇몇 시편들은 이스라엘의 지혜와 삶의 철학을 담고 있다.그리고 시편에는 율법과 역사, 예언 속에 자신을 계시하신 하나님에 대한 이스라엘의 신앙고백과 경배가 담겨 있으며 이스..
"구약성경의 시가서 중 한 권으로 의인에게 왜 고난이 있는가에 대한 ‘고난의 신비’를 다룬 책이다.욥이란 인물과 일어난 사건들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욥기의 내용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이며, 욥은 아브라함과 동시대의 인물로 보기도 한다. 저자 욥기의 저자가 누구냐에 관한 문제는 이 책의 기록 연대를 어느 시대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탈무드에는 욥기를 모세가 지었다고 한다.욥기에 나오는 어떤 문장과 모세 5경과 동일한 이유 때문이다.어떤 사람들은 다윗 왕정에서 성가대를 맡았던 헤만이 욥기의 저자라고 본다.욥기의 주요 사상과 헤만의 작품인 시편 88편의 사상과 같기 때문이다.다른 사람들은 솔로몬이 욥기를 지었다고 보기도 한다.본서가 지혜문학에 속하기 때문이다.그 밖에도 예레미야나 본서에 등장..
바사 제국의 통치 기간 중 유대인을 제거하려는 하만의 음모와 에스더가 바사 왕과의 결혼을 통해 유대인들을 구원하게 되는 극적인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이 구원의 사건은 그 후 부림절로 불리면서 오늘날까지도 유대인들에 의해 기념되고 있다.에스더서는 바사 궁정의 관습들에 대해 풍부한 자료를 제공해 주며 또 많은 바사인의 이름들과 여러 가지 언어들을 포함하고 있다.대부분 학자들은 이 책이 크세르크세스(Xerxes; 흠정역과 다른 역본들), 즉 아하수에로의 통치 기간 동안 또는 그 직후에 기록되었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에스더서의 저자와 수신자 이 책의 저자가 누구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보통 바사(페르시아)에 살고 있던 익명의 유대인으로 본다.그는 에스더서를 기록할 때 모르드개가 보관했던 기록과 역대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