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22 Suffering and Faith 고난과 믿음
"To this, you were called because Christ suffered for you, leaving you an example you should follow in his steps." - 1 Peter 2:21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입었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려 하셨느니라” - 벧전 2:21
In verses 18–20, Peter discusses why and how Christians must submit to the human authority of their masters. This is necessary to submit to the true authority: God Himself. Peter wrote that enduring pain and sadness for unjust suffering at the hands of human masters is commendable before God. In verse 21, he makes a bold and surprising statement: All Christians must endure suffering to do what is good.
베드로는 그의 서신 베드로전서 2:18-20에서 그리스도인들이 세상의 권위에 왜 복종해야 하는가를 교훈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하나님께 순종하는 진정한 권위에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베드로는 그리스도인들이 세상에서 주인에게 부당한 고난과 슬픔을 당하며 인내하는 것은 하나님으로 부터 칭찬받을 만한 일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21절에서 그리스도인은 선한 일을 위해 고난을 극복하는 부름이 있다는 놀라운 진술을 합니다.
More to the point, Jesus endured pain and sorrow while doing good for us. He suffered for us, receiving beatings from Roman guards, being crucified on the cross, and bearing our sins in that act of love. Peter says Jesus' actions are meant to be an example for us. Part of our purpose as Christians is enduring pain and sadness for doing good, for the LORD's sake (1 Peter 2:13). Following in Jesus' steps often leads to suffering for doing what is right. When that happens, it indicates that our lives are going in the right direction, not that we have made a wrong turn or that God has abandoned us.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선을 행하시면서 고통과 슬픔을 견디어 내셨고 고난을 당하시고 매를 맞으시며, 마지막에는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우리의 죄를 대신 감당하시기 위해 사랑의 십자가에서 죽으셨습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이 받으신 고난의 행위를 우리가 본받아야 할 본이라고 말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의 목적 중 하나는 주를 위해 선을 행하며 고통과 슬픔을 견디는 것입니다(벧전 2:13). 예수님을 맏고 따른다는 것은 선한 일을 하며 고난을 받는 것입니다. 신자의 고난의 삶은 잘못된 삶이거나 하나님께 버림을 받은 삶이 아닌 것입니다.
We encounter suffering and sorrow because of our devotion to the LORD. The ultimate purpose of our every work is to glorify God by making him happy. The conduct of a Christian should be done to please God and not please people. We can endure and persevere if we do good and suffer. All of us were called to do good deeds (1 Peter 2:21). However, if we do not understand Christ's suffering correctly, we cannot live such a life. Jesus Christ is the one who helps us and is a role model for us. Peter said that Christ suffered for us. Christ suffered, but He did not sin (1 Peter 2:22).
우리가 고난을 당하는 이유는 주님께 헌신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행하는 모든 일의 최종 목표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의 행위은 사람을 기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선을 행하면서 고난이 있을 때 참고 인내해야 합니다. 우리는 선행을 위해 부르심을 받았습니다(벧전 2:21). 그리스도의 고난을 이해하지 못하면 고난의 삶을 견디지 못합니다. 예수님은 고난중에도 범죄하지 않았고 우리의 본이 되셨다고 베드로는 말합니다(벧전 2:22).
We must work with a motive of love in all things by following the example of Christ. With such a motive, our minds and manners will be different. For example, because Jesus loved the people, he did not retaliate; he made no threats when insulted. Instead, Jesus loved them and entrusted himself to God, who judges justly (1 Peter 2:23). Because Christ loved everyone, He forgave our sins so that we could live in righteousness (1 Peter 2:24). It was the culmination of love. This enables us to offer our bodies and lives to help people experiencing poverty.
우리는 그리스도의 마음을 본받아 사랑의 동기를 가지고 일해야 합니다. 그러면 우리의 마음과 자세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예수님은 사람들을 사랑했기 때문에 보복하지 않으셨고 모욕을 당했지만 위협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예수님은 사랑하고, 공의롭게 심판하시는 하나님께 자신을 맡기셨습니다(벧전 2:23). 그리스도는 모든 사람을 사랑하셨기 때문에 의로운 자로 살아가도록 우리의 죄를 용서하셨고(벧전 2:24) 이것이 예수님의 최고의 사랑입니다. 이 예수님의 사랑은 우리로 어려운 자들을 위해 몸과 생명을 바치게 합니다.
Those who believe in Jesus Christ should not retaliate, even if treated unfairly. Christians' minds and attitudes should be different from those in this world. Our attitude should be submissive. Through such lives, the glory of God will be revealed. (1 Corinthians 10:31; Colossians 3:17). Unless we recognize this fact, we will be personally suppressed. If the number of complaints and dissatisfaction about our work increases, we naturally want to retaliate. We should remember the truth of our LORD's suffering when these thoughts arise. Since the LORD became the only example for us, we should become an example following Him.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은 부당한 대우를 받아도 보복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의 마음과 태도는 이 세상 사람들과 달라야 합니다. 우리의 마음 자세는 복종하는 자세이어야 하고 복종하는 삶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납니다(고전 10:31; 골 3:17). 이러한 복종하는 마음의 자세를 갖지 못하면 스트레스를 받게되고. 하는 일에 대해 불평과 불만이 많아지면서 보복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보복의 생각이 들면 주님께서 겪으신 고통의 의미와 진리를 다시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의 유일한 본은 예수님이시기 때문에 예수님을 본받아 살아가는 제자가 되어야 합니다.
"When our faith is tested by suffering, as gold is tried in a furnace," and we depend with confidence on God and rely entirely on his help, we will be granted the most excellent gift of patience. Through faith, we may victoriously persevere to the end." – John Calvin.
"용광로에서 금을 제련하는 것처럼 우리의 믿음이 고난으로 연단을 받고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을 의지하고 그분의 도움을 전적으로 의지할 때, 우리는 가장 훌륭한 인내의 선물을 받게 될 것이며 믿음을 통해 끝까지 승리로 인내할 수 있습니다." – 존 칼빈.
Today's Prayer: Praise our God, unfailing in love and great in compassion (Psalm 51:1-2). Give thanks for the forgiveness of all your past, present, and future sins through Jesus' death nearly 2,000 years ago! Confess that your sin has been against God himself (Psalm 51:3-5). Commit to the full integrity of having God's truth and wisdom in the inner recesses of your heart (Psalm 51:6). Ask God for full cleansing, purity, joy, and gladness (Psalm 51:7-9).
Prayer Pointer: The trouble with our praying is that we do it as a last resort. – Will Rogers
Bible Reading: Psalm 119:49-104; 1 Corinthians 4
오늘의 기도 : 인자와 긍휼이 많으신 우리 하나님을 찬양하고 (시 51:1-2), 당신의 과거, 현재, 미래의 죄가 2000여년전에 예수님의 죽음으로 용서받은 것을 하나님께 감사하십시오. 하나님 자신에 대해 범죄한 것을 고백하고 하나님의 진리와 지혜가 당신의 중심에서 진실함으로 충만하도록 간구하십시오 (시 51:7-9).
기도 지침 : 우리의 기도의 문제는 우리가 기도를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 윌 로저스
성경 읽기 : 시편 119편 49-104; 고릳도전서 4장
'경건메시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24. The Kingdom of God 하나님의 나라 (0) | 2025.08.17 |
---|---|
0823. Love Genuinely 거짓 없이 사랑하라 (1) | 2025.08.17 |
0821. Listening or Presuming? 경청과 추정 (0) | 2025.08.17 |
0820. Humility and Pride 겸손과 교만 (1) | 2025.08.17 |
0819. The Cross and the Crown 십자가와 면류관 (0) | 202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