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배경 및 목적
데살로니가전서를 기록한 뒤 1년이 채 되지 않아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데살로니가후서 역시 바울이 기록했다. 바울은 처음 편지를 쓴 뒤 얼마 되지 않아 걱정스런 소식을 들었다(살후 3:11).
박해가 계속되는 가운데 교회 내부에 영광 중에 오실 그리스도의 재림 때문에 오해와 소란이 있다는 것이었다. 일부 성도들은 끝날은 벌써 왔다고 하며(살후 2:2) 일을 하지 않기도 했다(살후 3:6-15).
이에 대해 바울은 그리스도의 재림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음을 증명하고 재림 전 어떤 징조가 있어야 하는지를 가르치고자 이 편지를 기록했다(살후 2:3).
데살로니가후서의 특징
첫째, 데살로니가전서와 마찬가지로 재림에 대한 내용이 많은 지면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서술한 어조는 보다 교훈적이다.
둘째, 급박한 재림(살전 5:2)보다는 재림 이전에 있을 몇 가지 징조를 거론하며 보다 일상 생활에 충실할 것을 말했다(살후 3:6-15). 또한 재림을 설명하면서 바울은 유대교 묵시문학적인 개념을 사용하였다(살후 2:1-12).
셋째, 교리적이기보다는 보다 실천적인 어조로 기록했다(살후 3:6, 10).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재림
데살로니가전서 | |
상황 | 이미 죽은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걱정이 만연했다. |
바울의 견해 | 재림은 갑작스럽게 닥칠 것이므로, 우리는 재림에 대해 깨어서 준비해야 한다. 이때 죽은 자는 물론 살아있는 자들도 예수님과 함께하게 될 것이다(살전 4:13-18). |
데살로니가후서 | |
상황 | 재림은 벌써 일어났다고 하는 오해가 많았다. |
바울의 견해 | 예수님의 재림 전에 사탄의 활동이 엄청나게 활발해질 것임을 강조했다(살후 2:1-12). |
> * 데살로니가전서와 후서는 모두 재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내용의 차이는 상반된 것이 아니라 강조점이 다를 뿐임을 보여 준다.
영상으로 보는 데살로니가후서
728x90
'성경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 신약성경 - 바울서신 - 디모데후서 (0) | 2025.07.04 |
---|---|
54. 신약성경 - 바울서신 - 디모데전서 (0) | 2025.07.04 |
52. 신약성경 - 바울서신 - 데살로니가전서 (0) | 2025.07.04 |
51. 신약성경 - 바울서신 - 골로새서 (2) | 2025.07.03 |
성경 66권, 구약성경 39권과 신약성경 27권 | 성경책장 (1) | 2025.07.02 |